우리의 작업에서 우리는 경험과 표현의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상상적, 영적 수준간의 관계를 탐색합니다.
우리는 몸, 상상, 영혼간의 관계 그리고 개인과 타인과 집단 간의 관계를 탐색합니다.
예술의 과정, 예술 작품, 배움은 이러한 탐색에서부터 일어납니다.
알아차림과 반응의 세 가지 수준
신체적 수준은 인간의 움직임과 춤의 기본적 원리들을 연구하고 연습하는 것을 통해 다룰 수 있습니다.
정서적 수준은 자서전적 재료들을 조사하고
움직임, 그림 그리기, 글쓰기, 공연, 치료적 연습의 매체를 통해
탐구하는 것을 통해 다룰 수 있습니다.
인지적 수준은 창조적 과정의 요소들, 의사소통 기술,
이론적 원리와 개념들을 재현하는 것을 연구하고
연습하는 것을 통해 다룰 수 있습니다.
우리는 영적인 측면은 사람들이 앞의 세 가지 수준의
알아차림과 창조성을 모두 표현할 수 있을 때
향상된다고 믿습니다.
무브먼트 리츄얼
무브먼트 리츄얼은 움직임, 움직임의 범위, 유연성의
알아차림을 증강시키는 일련의 구조적 움직임들을 가리키며,
창조적 움직임의 탐구의 기초가 됩니다.
정신운동적 상상의 과정
이는 몸, 감각, 이미지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는 체계로
이는 움직임과 그림 그리기 그리고 대화 사이를 바꾸어가며 탐색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진다.
움직임 연구
공간과 시간, 리듬과 힘, 관성과 가속도, 몸의 각 파트의 정교화, 움직임의 범위와
움직임의 창조적 표현을 위한 제스처의 요소와 원리를 탐색한다.
몸의 각 파트 탐색
몸의 해부학과 포즈, 몸의 각 파트와 서로 간에 또는 전체 몸과의 관계를 알아차리는 능력을 개발합니다.
각 몸의 파트와 연합된 개인적 그리고 집단적 주제와 은유, 몸의 각 파트와 느낌, 상상 간의 관계를 탐색합니다.
치유의 5단계 과정
알아차림과 표현을 더 넓히고
삶의 주제와 사건을 치료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도입니다.
이는 창조성, 통찰, 변화의 자원을 만들기 위한 것입니다.
RSVP 싸이클
개인적 그리고 집단적 창조성을 생성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제, 의도, 자원, 활동을 디자인하고 스코어링하는데 사용되는 지도와 구조입니다.
R= resources(자원), S = score(스코어), V = valuaction(가치평가), P = performance(공연).
창조적 글쓰기
자원을 발견하고, 주제, 시, 게슈탈트 대화를 글로 쓰고, 몸의 각 파트를 원고로 쓰고, 이야기를 만듭니다.
공연
주제와 재료를 발견하고 형상화하고, 코칭하고 공연하고 피드백을 받고 리싸이클링합니다.
목격과 적극적 경청
의사소통의 기술, 갈등 해결, 피드백을 주고 받는 것의 이론과 기술들을 말합니다.
비판적이고 해석적이지 않은 미학적 피드백을 주는 특정한 접근법을 가리킵니다.
나는 봅니다, 듣습니다, 느낍니다, 상상합니다의 의사소통 모델을 사용합니다.
* 트레이닝에서 이루어지는 도구, 이론, 방법론에 관한 좀 더 자세한 정보는 도서 <동작중심 표현예술치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